분류 전체보기 2

인터넷 디스크에 있는 악성 코드 치료 문의

제품: Kaspersky Endpoint Security (v.12.x)기능: 필수 위협 보호 - 파일검사 [문의 내용]1. 인터넷디스크에 있는 파일로 탐지하여 치료를 할 수 있는 설정이나 방법이있는지?2. ESTsecurity로 만든 인터넷 디스크 동작방식과 관련이 있는지 레퍼런스가 있는지? [증상 및 내용]업무 파일중 엑셀 파일 하나가 있는데 내부에 있는 매크로가 개체이름 'Kangatang Virus.MSExcel.Agent.o' 탐지명으로 하여 잡히고 있습니다. 해당 파일이 C드라이브 같은 로컬드라이브 및 일반 네트워크 공유 폴더에 있으면 정상적으로 탐지 하여 치료를 하는데 ESTsecurity로 만든 인터넷 디스크 안에 있으면 처리안된 위협으로 가고 해결을 눌러도 처리가 안되고 있습니다. (이유..

웹 접속시 SSL 변경 되는 이유

제품: Kaspersky Endpoint Security (v.12.x)기능: 일반설정 - 네트워크 설정 - 암호화된 연결 검사 [문의 내용]▶ URL 사이트 접속시 SSL 정보에 관한 문의[문의 답변]▶ 웹페이지 접속 시 SSL 인증서가 카스퍼스키(Kaspersky)로 표시되는 이유는 카스퍼스키의 "암호화된 연결 검사(SSL/TLS 검사)" 기능 때문입니다. 이 기능은 HTTPS 트래픽을 검사하기 위해 중간에서 SSL 인증서를 대체하여 웹사이트와 사용자 간의 보안을 확인합니다.SSL Checker: https://www.sslcert.co.kr/tools/online-check-ssl-installation■ SSL 인증서가 카스퍼스키로 표시되는 원리▒ 중간 SSL 프록시 방식:카스퍼스키는 HTTPS ..

728x90